top of page
검색
[제153호] 임명수 전문연구원 - 문 대통령의 종전선언 제안 이후 남북관계 변화와 전망
제153호 임 명 수 (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전문연구원) 문 대통령의 종전선언 제안 이후 남북관계 변화와 전망 2018년 2월 평창동계올림픽을 계기로 대화 국면으로 전환되면서 세 차례의 남북 정상회담과 두 차례의 북미 정상회담 개최되었으나...
2022년 4월 28일
[제152호] 김학은 명예교수 - 주체사상의 논리적 모순 (I)
제152호 김 학 은 (연세대학교 상경대 경제학부 명예교수) 주체사상의 논리적 모순 (I) 1. 주체사상 주체사상은 여러 철학을 내포하고 있으나 그의 철학적 기본 명제는 간단하다. “사람이 주인의 위치”라는 김일성-김정일의 사람 중심의 철학적...
2022년 4월 28일
[제151호] 류경아 전문연구원 - 북한의 기후 위기와 식량난
제151호 류 경 아 (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전문연구원) 북한의 기후 위기와 식량난 현 시대의 주요 담론 중 하나가 ‘환경’이다. 기후변화와 쓰레기, 생태계의 문제는 더 이상 지구 차원의 문제가 아닌 내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나의 문제로...
2022년 4월 28일
[제150호] 봉영식 전문연구원 - 아프가니스탄 종전과 한반도 정세
제150호 봉 영 식 (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전문연구원) 아프가니스탄 종전과 한반도 정세 아프가니스탄 현지 시간으로 2021년 8월 30일 밤 11시 59분 미군의 마지막 C-17 수송기가 아프가니스탄 카불 하미드 카르자이 국제공항을 떠남으로서...
2022년 4월 28일
![[제149호] 송경호 전문연구원 - 북한연속간행물 획득 현황과 활용 과제](https://static.wixstatic.com/media/6fba37_d92b139d0372459f9117e19c41fdffa8~mv2.png/v1/fill/w_514,h_280,fp_0.50_0.50,q_95,enc_avif,quality_auto/6fba37_d92b139d0372459f9117e19c41fdffa8~mv2.webp)
[제149호] 송경호 전문연구원 - 북한연속간행물 획득 현황과 활용 과제
제149호 송 경 호 (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전문연구원) 북한연속간행물 획득 현황과 활용 과제 2009년 북한 당국은 U.N. 인권이사회 국가별 정례인권검토(Universal Periodic Review) 실무그룹 제6차 회기에...
2021년 7월 20일
[제148호] 최재덕 전문연구원 - 미중패권경쟁시대, 호주와 중국의 대립
제148호 최 재 덕 (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전문연구원 / 원광대학교 한중정치외교연구소장) 미중패권경쟁시대, 호주와 중국의 대립 호주가 바이든 행정부의 출범과 함께 시작된 미중패권경쟁 2막의 선봉에 섰다. 코로나 팬데믹 기원에 대한 조사를 강력히...
2021년 7월 12일
[제147호] 조진수 전문연구원 - 장마당 세대
제147호 조 진 수 (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전문연구원) 장마당 세대 북한의 1990년대는 198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외부의 탈냉전과 1990년대 고난의 행군(1995-1999)이라는 내부의 위기가 맞물린 시기였다. 1989년 동유럽 사회주의...
2021년 5월 20일
[제146호] 박찬봉 전문연구원 - 통일, 새로운 전략이 필요하다
제146호 박 찬 봉 (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전문연구원) 통일, 새로운 전략이 필요하다 2021년의 해가 밝았다. 분단 76년째 해다. 일제 35년의 두 배 하고도 6년이 넘는 해이고국제 냉전이 해체되어 독일이 통일한 지도 31년이 되는 해이다....
2021년 2월 22일
[제145호] 최재덕 전문연구원 - 2021년, 미중패권경쟁의 2막이 오른다
제145호 최 재 덕 (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전문연구원/원광대학교 한중정치외교연구소장) 2021년, 미중패권경쟁의 2막이 오른다 코로나 팬데믹이라는 세계적인 대혼란 속에 개인과 사회, 국가 모두 혼란의 원인을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느라 지난 1년을...
2021년 1월 10일
[제144호] 정주영 전문연구원 - 권위주의 국가 중국의 코로나 팬데믹 대응
제144호 정 주 영 (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전문연구원/중국학술원 상임연구원) 권위주의 국가 중국의 코로나 팬데믹 대응 중국은 공산당 일당독재의 권위주의 국가이다. ‘코로나 팬데믹’의 상황에서도 세계는 질병으로서의 코로나 문제뿐만 아니라...
2020년 12월 25일
[제143호] 김현 전문연구원 - 북한의 코로나-19 방역, 김정은 그리고 ‘계몽군주’
제143호 김 현 (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전문연구원) 북한의 코로나-19 방역, 김정은 그리고‘계몽군주’ 코로나-19의 전 세계적 확산은 전염병 발발 1년이 지난 지금도 그 기세가 꺾이지 않고 있다. 비록 영국과 미국에서 백신 접종이 시작되었다는...
2020년 12월 15일
[제142호] 송경호 전문연구원 - 2000년대 이후 한국의 북한 인권 연구 동향
제142호 송 경 호 (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전문연구원) ‘인권’은 ‘핵’과 함께 탈 냉전기 북한 연구의 핵심 키워드라고 할 수 있다. 두 문제 모두 1993년을 기점으로 하는데, 그 해 3월 북한이 핵확산금지조약(NPT)에서 탈퇴했고, 같은 해...
2020년 10월 23일
[제141호] 부승찬 전문연구원 - 주한미군 감축과 한미동맹 변화의 방향성
제141호 부 승 찬 (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전문연구원) 주한미군 감축과 한미동맹 변화의 방향성 1950년 7월 14일, 한국전쟁이 발발하고 전황이 불리하게 돌아가자 당시 대통령이었던 이승만은 맥아더 장군에게 한 통의 서한을 발송한다. ‘현재의...
2020년 9월 22일
[제140호] 이병재 전문연구원 - 감정, 정책, 선호, 실험
제140호 이 병 재 (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전문연구원) 감정, 정책 선호, 실험 사회과학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인과관계의 규명이다. 자연과학과 달리 일반적으로 관찰 데이터를 사용하는 사회과학 분야에서 인과관계의 규명은 쉽지 않다. 왜냐하면...
2020년 8월 21일
[제139호] 권소영 전문연구원 - 10월의 서프라이즈? 2020미국대선과 북미정상회담
제139호 권 소 영 (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전문연구원/한국조지메이슨대학교 교수) 10월의 서프라이즈? 2020미국대선과 북미정상회담 미국의 전 국가안보회의(NSC) 보좌관 존 볼턴의 백악관 회고록이 화제다. 볼턴의 매파적인 성향과 트럼프에 대한...
2020년 7월 22일
[제138호] 전수미 전문연구원 - 북향민을 통해 본 대북정책
제138호 전 수 미 (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전문연구원/변호사) 북향민을 통해 본 대북정책 약 10여년이 넘게 북한에서 탈출하여 온 북향민들을 만나고 지원하면서 느꼈던 게 있다. 같은 조선어를 쓰지만 우리의 사고방식이나 생활방식과 너무나도 많이...
2020년 6월 16일
[제137호] 장휘 전문연구원 - 2020년 21대 총선과 북한이탈주민의 정치참여
제137호 장 휘 (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전문연구원) 2020년 21대 총선과 북한이탈주민의 정치참여 2020년 4월 15일에 실시된(사전투표 10-11일) 대한민국 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2명의 북한이탈주민이 당선되었다. 미래통합당의 강남...
2020년 5월 21일
[제136호] 봉영식 전문연구원 - 문재인 정부 후반기의 대북정책 전망
제136호 봉 영 식 (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전문연구원) 문재인 정부 후반기의 대북정책 전망 미국인들에게 대통령 선거가 11월의 국가대사로 자리잡았다면, 대한민국 국민에게 대통령 선거는 1987년 민주화와 대통령직선제 개헌이후 5년마다...
2020년 4월 15일
[제135호] 정대진 전문연구원 - 코로나19가 백두산 정신을 만날 때
제135호 정 대 진 (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전문연구원) 코로나19가 백두산 정신을 만날 때 코로나19가 한반도를 덮치고 있다. 북한은 전천후 밀봉전략으로 대응 중이다. 1월 말 국가 비상 방역체계 선포에 이어 지난 2월 20일부터는 전국...
2020년 3월 9일
[제134호] 김숭배 전문연구원 - “전후”와 “해방”의 한일관계, 그리고 국제정치학
제134호 김 숭 배 (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전문연구원) “전후”와 “해방”의 한일관계, 그리고 국제정치학 1945년을 보편적인 기준으로 하여 “전후 한일관계”라는 견해가 있다. 인류사에서 전쟁은 항상 큰 문제였다. 그러나 한편으로는 식민지...
2020년 2월 9일
bottom of page